본문 바로가기

경제

2025년 전기차 보조금 최대 580만원, 2024년과 차이점

반응형

2025년 전기차 보조금 금액

 

중, 대형 : 최대 400만원 (2024년) -> 최대 300만원 (2025년)

소형 : 최대 300만원 (2024년) -> 최대 250만원 (2025년)

초소형 : 250만원 정액 (2024년) -> 200만원 정액 (2025년)

 

보조금 상한선

중대형 : 650만원 (2024년) -> 580만원 (2025년)

소형 : 550만원 (2024년) -> 530만원 (2025년)

 

배터리

 

2024년 : 차량정보수집장치 장착 20만원

2025년 : 차량정보수집장치 장착 20만원 / 베터리상태정보제공 20만원 / 배터리관리시스템 (BMS) 알림 기능 10만원

 

보조금 지원 대상 차량 가격 조정

출고가 기준 차량 가격이 5500만원 이하인 경우 보조금 전액 지원 대상 (2024년) -> 5300만원 이하로 조정 (2025년)

5300만원 이하 : 100% 지원 (캐스퍼 일렉트릭, 레이 EV, EV3, 코나 일렉트릭, 토레스 EVX, EV6, 아이오닉5, 아이오닉6 등)

5300만원 ~ 8500만원 : 50% 지원 (ID4, 폴스타2, GV60, iXL, EQA, EV9, GV70 EV, EQB, i4, G80 EV 등)

8500만원 이상 : 0% 지원 (i5, 리릭, EQE SUV, EQS, i7, 타이칸, iX 등)

 

주행거리 및 충전 속도에 따른 보조금 차등화

 

주행거리가 440km 미만인 차량은 보조금 감소폭이 확대되도록 하고, 충전속도에 따른 추가 보조금 (인센티브) 지급 구간도 상향하여 주행거리 및 충전속도로 인한 불편이 적은 전기차를 우대

중, 대형 : 400km (2024년) -> 440km (2025년) / 440km 미만에서 10km당 차등폭 6.8 -> 8.1만원

경, 소형 : 250km (2024년) -> 280km (2025년) / 280km 미만에서 10km 당 차등폭 4.5 -> 5.0만

 

추가 지원

청년의 생에 첫 전기차 구매 소득에 관계없이 20% 추가 보조금 지원

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최대 300만원까지 추가 지원 (2자녀 100만원, 3자녀 200만원, 4자녀 이상 300만원)

BMS 업데이트 불가 차량 폐차 후 신차 구매 시 20만원 추가 지원

 

충전 인프라 지원

 

공동주책 충전기 설지 지원금 가구당 최대 200만원으로 증가

급속충전기 설치 시 시제 혜택 제공

공공기관 충전소 의무 설치 비율 상향

 

중고 전기차 보조금 신설

대상 : 3년 이상 경과한 중고 전기차

금액 : 최대 300만원 (차종 및 연식에 따른 차등)

지원 조건 : 연 소득 5000만원 이하 가구

 

환경성 기준 강화 (신설)

 

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계획을 제출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변경

 

안전계수 도입 (신설)

2025년부터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차량이나 충전량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차량은 보조금 지급 대상 제외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국내 첫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NXT  (1) 2025.02.10